2024. 10. 6. 00:56ㆍ유용한 정보
한글날의 유래와 한글의 발전 역사, 그리고 한글 보급에 힘쓴 인물들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최초의 한글날 기념식은 1926년,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맞아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에 거행되었습니다. 그 후 1928년에 '한글날'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1931년부터는 양력 10월 29일로 기념일이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1934년에 10월 28일로 수정되었으며, 해방 후 1945년에 현재의 날짜인 10월 9일로 확정되었습니다.
한글날은 1949년 처음으로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1991년 공휴일에서 제외되어 일반 기념일로 격하되었습니다. 이후 2005년에 국경일로 지정되었고, 2012년 다시 공휴일로 재지정되어 2013년부터 공휴일로 다시 자리 잡았습니다.
한글의 발전 과정
세종대왕은 1443년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했으며, 1446년에 공식적으로 반포하였습니다.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는 백성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를 통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조선 사회의 문자 생활을 개선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하지만 한글은 조선 선비들로부터 오랜 시간 동안 홀대받았고, 일부 왕들의 탄압도 겪었습니다.
그러나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한글이 공식 공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공공연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탄압으로 인해 한글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주시경과 최현배 등의 노력으로 한글 연구와 보급이 지속되었습니다. 광복 이후 한글은 국가 차원에서 더욱 보호받게 되었으며,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습니다.
한글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들의 업적
- 세종대왕 (1397-1450): 1443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에 반포하여 백성들에게 널리 퍼트렸습니다.
- 집현전 학사들: 정인지,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등이 훈민정음의 해례본 저술에 참여해 창제 원리와 사용법을 설명했습니다.
- 주시경 (1876-1914): 근대 한글 연구의 아버지로 불리며, 한글의 과학적 연구와 보급에 앞장섰습니다.
- 최현배 (1894-1970): 주시경의 뒤를 이어 한글 교육과 연구에 힘쓰고, 현대 한글 문법과 표기법을 정립했습니다.
- 이극로 (1893-1978): 일제강점기 시절 한글 연구와 보급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한글의 학문적 연구와 실용화를 위해 헌신했습니다.
- 박두성 (1888-1963):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글 점자 '훈맹정음'을 1926년 개발해 시각장애인들도 한글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최세진 (1473-1542): 한글 자모의 이름을 처음 붙인 인물로, 오늘날 우리가 쓰는 '기역, 니은, 디귿' 등의 명칭을 만들었습니다.
- 신경준 (1712-1781): 한글의 음운 연구를 통해 한글 표기 체계를 정립하고, 오늘날 한글 연구에 초석을 다졌습니다.
- 헐버트 (1863-1949): 한글 띄어쓰기를 도입한 인물로,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서양의 관심을 촉발시켰습니다.
- 전형필 (1906-1962): 훈민정음 해례본을 보존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여 한글의 역사적 유산을 지켜냈습니다.
이 인물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한글은 단순한 문자를 넘어선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문자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라모폰 클래식 음악 상: 가장 비중 있는 상과 주요 수상자 정리 (0) | 2024.10.07 |
---|---|
한글날에 뒤이은 세계 각국의 언어 기념일 (4) | 2024.10.07 |
그래미 상과 그라모폰 상 비교, 그리고 2024년 그라모폰 상 수상자 명단 (7) | 2024.10.05 |
대한축구협회가 비난받고 있는 주요 이유: 홍명보 감독 선임과 그 외 문제들 (3) | 2024.10.04 |
홍명보 감독 선임 과정 논란: 공정성, 투명성 문제와 축구계 반응 (2) | 2024.10.04 |